장기투자는 어디로 (feat 삼성전자)
자본주의 꽃은 주식이라고 한다.
부푼 꿈을 안고 주식을 처음 매매하던 날이 기억난다.
왠지 내가 사는 주식은 오를 거 같고 그랬었지
한 달 두 달이 지나고 나니 마법 같은 일이 벌어졌다.
내가 사면 주식이 떨어지고 내가 팔면 오른다는 사실!
과학이었다.
그래서 역시 공부를 해야되는구나 싶었다.
이것저것 보다보니 결론은 나도 버핏 형님처럼 장기투자를 해야 되는구나
근데 한국 시장은 미국같이 우상향 하지 않던데
장기투자도 될만한 기업에 해야 되는구나 싶었다.
금리도 인하됐다.
이제 투자금을 좀 더 늘려봐야 될 거 같은 생각이 든다. (훗날 후회하게 될 수도 있지만)
앞으로 유망 산업은 반도체 , 신소재 , 배터리 , 바이오 등이라 예상한다.
그리고 시스템 반도체에 투자를 시작한 한국 대표기업 삼성전자가 있다.
갤럭시가 나오던 2010년 전후에 삼성전자와 지금의 삼성전자의 가치 차이를 보며
시스템 반도체 이전의 삼성전자와 10년 후의 삼성전자는 또 다른 가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718034001&wlog_tag3=naver
삼성전자, 133조원 전방위 투자… 2030년 ‘시스템 반도체 넘버1’ 도약한다
삼성전자가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전 세계 1위를 달성하기 위해 총력을 쏟아붓고 있다.지난 4월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연구개발 및 생산시설 확충에 133조원을 투자하고, 전문인력 1만 5000명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시스템 반도체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같은 기간 동안 국내 연구개발(R&D) ...
www.seoul.co.kr
삼성전자 말고도 한국에는 상장된 반도체 회사가 많이 있다.
다트에서 통합검색으로 시스템 반도체를 검색하면 사업보고서나 분기보고서로 검색되는 회사가 많다.
재무를 확인해보고 꾸준히 이윤을 내는 기업에 장기 투자하면 성공할 수 있지 않을까?
위기 속에 기회가 온다고 한다.
금리는 인하됐고 연말에 한번 더 인하될 수도 있다고 한다.
예금은 이제 그만해야지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