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각종 경제 지표 확인하기MONEY 2019. 6. 23. 16:20
재테크 공부를 시작한 이후 가장 자주 들어가는 곳이 네이버 금융이 되었다. 코스피 지수부터 각종 경제 지표가 잘 정리되어 있다. 사실 내가 네이버를 자주 사용하다 보니 네이버 금융이지 물론 다음이나 다른 포털 사이트도 잘 되어있을 것이다. 그런데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환율정보도 금정보도 최근 10년까지의 정보만 볼 수 있다. 시대가 난세인지라 안전 자산인 금,달러,엔,채권 등이 주목받고 있다. 과거를 보고 미래를 예측한다..는꿈이지만 그래도 금값이나 달러 환율을 10년 이상으로 보고 싶어서 찾아봤으나 검색력이 짧아서 그런지 찾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다가 오늘 찾아서 기록한다. https://ko.tradingeconomics.com 경제 지표 | KO | TRADINGECONOMICS.COM ko...
-
재테크와 취미생활의 병행MONEY 2019. 6. 17. 19:36
주식이나 채권이나 펀드나 단기간에 승부를 보려고 하다 보니 도박적인 성향을 띄게 된다. 내 돈이 들어가면 신경을 안 쓸 수 없겠지만 일반인이 시간을 묵히지 않고서는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다. 한두 번의 운으로 큰돈을 번다하더라도 재테크는 평생을 함께해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해보면 그 운은 오히려 독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코스피 200의 10년 그래프이다. 결과론적인 얘기지만 인덱스에만10년 동안 묻지마 투자해도 두배이상은 된다는 말이다. 10년동안 가만히 두기만 해도 두배가 되면 누워서 숨쉬기처럼 쉬운데 왜 주식으로 돈 버는 사람은 드물까? 내가 생각한 가장 어려운 점은 바로 가만히 있기이다. 주식을 시작해서 단기간 요동치는 그래프를 보고 있노라면 내 감정을 제대로 컨트롤하기 힘들다. 사..
-
채권 ETF 고르기MONEY 2019. 6. 15. 16:01
단기채권 ETF는 하락이 거의 없지만 매일 0.01% 정도 오른다. 안전하기는 하지만 장기채권도 섞어서 가져가 볼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나눌 것도 없는 투자금액이지만 ㅠ 얼마 없는 계란을 여러 바구니에 담으려 하다가 바구니 값이 더나 가는 상황이다. 중장기 채권에 투자하는 ETF 몇개를 비교하여 선택하며 아래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려고 한다. 1. 인버스 나 레버리지는 제외한다.(필수) 2. 거래량이 안정적으로 천 단위 이상 이어야 한다.(필수) 3. 수익률은 연 5% 이상이다.(필수) 4. 펀드 보수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면 좋다.(권장) 5. 분배금을 지급하면 좋다.(권장) KB의 중장기 국공채 액티브다. 거래량도 괜찮고 펀드 보수도 저렴하다. 연간 수익률 6.3%.. 괜찮다. 연말에 분배금도 나온다...
-
혼돈 상황MONEY 2019. 6. 15. 15:41
2019년 5월 13일 상황 "총체적으로 본다면 우리 경제는 성공으로 나아가고 있고, 우리 중소기업도 매일매일 기적을 써내려가고 있다" http://imnews.imbc.com/news/2019/politic/article/5291831_24691.html 문 대통령 "총체적으로 우리 경제 성공으로 나아가…반드시 성과 창출" 문재인 대통령은 총체적으로 본다면 우리 경제는 성공으로 나아가고 있고, 우리 중소기업도 매일매일 기적을 써내려가고 있다며 올해, 3년차에는 반드시 현장에서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오늘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대한민국 중소기업인 대회... imnews.imbc.com 2019년 6월 14일 상황 "국내 경기 관련 투자와 수출이 부진하면서 경제 하방 위험도..
-
리디노미네이션?MONEY 2019. 6. 11. 11:45
리 - 다시 디 - 반대로 노미네이션 - 지명 다시 반대로 지명?? 영어도 어렵고 경제도 어렵고 말도 어렵다. 화폐단위 변경이다. 화폐단위명 변경인 디노미네이션과는 다르게 이름은 그대로인데 단위만 바꾼다. 이미 식당이나 카페에서는 3000원을 3.0 혹은 3이라고 표현한 곳이 많다. 그러면 왜 하는건가? 3월 2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 참석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리디노미네이션 관련 질문에 대해 “논의를 할 때가 됐다고 생각은 한다”라고 답했다. 총재님께서 논의할 때가 되었다고 한다. 한은 피셜 -화폐 기본단위 구매력 회복 -경제·금융거래 규모 확대에 따른 불편 해소 -기장, 계산·지급의 편의성 제고 -대외적 위상 제고 등을 위해 리디노미네이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상호 비교를 편리하게 한..
-
이것은 어떤 게임인가? 자본주의MONEY 2019. 6. 10. 18:38
지금은 하지 않지만 몇 년 전 LOL이라는 게임을 자주 했었다. 안타깝게도 게임에 소질이 없어서 부모님 안부를 물어오는 전우들이 있었지만 꽤 오래동안 즐긴 게임이다. 그런 장르의 게임들이 비슷하겠지만 게임을 하다보면 적 딜러가 잘 컸는지 법사가 잘 컸는지 뭐 그런 것에 따라 아이템 테크트리를 맞춰서 가져간다. 마법공격이 아프면 마법방어템을 사고 물리 공격이 아프면 방템을 두른다. (주로 탱커라서) 적이 잘못커서 상황이 유리하다면 쿨감 템이나 공속 템을 가기도 하고 말이다. 재테크에 관심을 가진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지금 내가 하는 게 무엇인가 경제나 국제정세 주식이 마치 현실 게임 같다는 생각이 든다. 경기가 좋아지면 혹은 금리가 오르면 나는 뭘 해야 하는가? 환율은 앞으로 오를 것인가? 아니면 내릴 것..